"트럼프의 가상자산 공약의 핵심은 두 가지로 비트코인과 달러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이 둘은 트럼프 정부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구호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2.0 시대를 맞아 주식만큼이나 가상화폐 시장도 출렁거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에 맞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던 비트코인은 고점 대비 약 20% 하락한 8만달러대에서 횡보를 거듭하고 있다. 가상화폐가 트럼프 2.0 시대에 가장 각광을 받을 재테크 자산이 될 것이라는 믿음도 가격의 등락만큼이나 휘청대는 중이다.
2025 서울머니쇼에 나선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가 단지 트럼프 대통령의 친화적 성향 때문이 아니라 거시적 경제 정책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장기 수혜를 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중 특히 정책적 수혜가 예상되는 알트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도 현장에서 짚을 예정이다.
머니쇼 첫날인 5월 8일 강연에 나서는 이용재 미래에셋증권 수석매니저는 스테이블코인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달러 또는 다른 법정통화로 가치가 고정돼 있는 스테이블코인은 가상화폐 거래 용도로 주로 사용되지만 차세대 지급 결제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인 '지니어스(GENIUS)'를 제정해 육성할 계획이며 트럼프 일가도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팔을 걷어붙였다.
이 수석매니저는 "연준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대신 민간의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부양할 경우 연준의 권한 확대를 막고 달러 패권을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스테이블코인 산업의 폭발적 성장은 결국 가상화폐 산업의 육성으로 이어진다고 이 수석매니저는 강변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의 현 사용 목적 1순위는 가상화폐 구매 및 관련 서비스 이용"이라며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비트코인을 위시한 가상화폐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월가의 금융회사들도 비트코인을 활용해 금융상품을 출시하고 미래 먹거리를 챙기길 원하기 때문에 가상화폐 산업의 성장은 필연적"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인 비트코인의 전략적 자산 비축도 여전히 효력이 살아 있는 호재다. 비축을 위한 행정명령이 발효됐지만 실제 비축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을 비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예산이 마련되고 실제로 매수가 이뤄지면 당연히 비트코인에는 큰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백훈종 스매시파이 최고경영자(CEO)는 "행정명령 이후 미국 연방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비축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며 "주정부와 해외 국가들까지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흐름에 동참하고 있어 단기적 가격보다 훨씬 중요한 장기적 수요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들은 지금이 과매도 구간으로 매수하기 좋은 진입 시점임을 시사한다"며 "저점에 사서 고점에 파는 전략보다 꾸준히 비트코인을 모은 투자자들이 진정한 수익을 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에서도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적 수혜에 집중할 것을 권한다. 특히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단속과 소송 중심의 규제가 철폐되고 업계 친화적인 규제 방안이 모색되는 점을 감안할 때 새로운 알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